본문 바로가기

Book/PM

[Book]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PM의 역할

 

 

 

PM의 정의

 
 

  • PM 역할이 아닌 것
    • 보고 라인에 있는 팀 상사 : PM은 사람을 관리하지 않는다. 아무도 보고하지 않으며 그 누구의 상사도 아니다. 양보나 타협이 아닌 '왜'에 대한 비전을 명확하게 이해시켜 엔지니어 및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이끌어내야한다.
    • 마케터 : PM은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마케터와 세일즈 담당자가 제품의 강점을 잘 인지한 상태에서 고객의 문제에 집중하여 홍보와 판매를 하고 있는지 면밀히 모니터하는 것이 중요하다.
    • 데이터 분석가나 사용자 리서처 : 스타트업 관점에서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목표는 '최종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지 않는 활동을 제거하는 '이다. 데이터 수집은 사용자조사 팀이나 데이터 분석 팀에 의뢰하면 된다.
    • 애자일 전문가 : 애자일 전문가처럼 애자일 방법론에 능숙해야 한다는 것은 큰 오산이며, 애자일 신앙에 얽매여서는 안된다. 디양한 주변 상황과 환경에 맞는 개발 방법을 찾아 개선해 나가는 역할을 할뿐이다.
    • 능숙한 기술자 : 기술적인 역할보다 고객의 불편함에 공감하고 비즈니스를 파악해 제품에 반영하고 릴리즈까지 책임지는 역할을 한다. 모든 기술 지식을 이해해야하는 것이 아니다.

 

  • ​PM의 역할인 것
    • 커뮤니케이션의 허브 역할 : PM은 조직에서 프로덕트 관련 정보의 중심이다. 정보 양과 품질, 이해도를 끊임없이 정리하며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허브 역할을 한다.
    • 치어리더 역할 : 엔지니어와 디자이너가 어려운 기술 과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는 동안 PM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피드백과 사용 지표를 통해 어떤 것이 중요하며 다음에 무엇을 구현할 있는지, 어떻게 하면 시간을 활용할 있는지 살펴보고 결정한다. 엔지니어와 디자이너가 최상의 성과를 있도록 이끄는 것이다.
    • 우선순위 조정 역할 : 매일 우선순위를 다툰다. 합리적인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조절하고 모든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고 합의를 이끌어내야한다.

PM의 역할은 '프로덕트 성공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는 역할'이다.

 
 
여기서 말하는 '성공'은 기업 비전과 일치해야하며 해당 엔지니어링 팀 목표와도 동일한 방향이어야 한다.

또한 성장과 내실을 모두 가지고 고객과 사용자 만족도도 유지해야 한다.
 
 
(내용 출처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김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