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PM

(3)
[Book]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프로덕트 개발 라이프 사이클 7단계 프로덕트 개발 라이프 사이클 = 개발 프로세스 수명주기 연구 → 계획 → 개발 → 검증 → 출시 → 출시 후 극대화 → 유지 관리 혹은 종료 1단계 : 연구 단계로, 사용자 문제를 수집한다. 아이디어나 생각하고 있는 솔루션을 브레인스토밍하면서 어떤 프로덕트를 만들어야 하는지 알아내고자 노력하는 단계. 2단계 : 계획을 세우는 단계로, 시장조사를 진행한다. 1단계에서 논의된 아이디어로 시장에서 통할 것인지 조사. 또한 해당 프로덕트가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프로덕트의 특정 기능은 어느 시점에 가져야 하는지 등 전체적인 로드맵을 작성. 3단계 : 개발 단계로, 타임라인을 만들고 프로덕트에 포함될 기능을 작성한다. 사용자 스토리와 각 동작 사양을 구체화한다. 특정 기능을 개발하는 데 얼마나 오래 걸릴지 구체적..
[Book]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B2B와 B2C B2B와 B2C 1) B2B PM 기업용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프로덕트를 관리한다. (대표적으로 오라클, 세일즈포스, MS 등) 쉽게 말해, 다른 회사의 비즈니스를 돕고 해결하도록 설계되는 프로덕트를 담당한다. 고객의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능력과 산업 및 고객별 비즈니스 흐름을 표준화하는 기술 능력이 필요하다. 제품화 과정 : 고객의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기존 프로세스 내에서 어떤 시장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고민하며, 고객과 '협업'하는 개념으로 제품화 과정을 발전 시킴 PMF 방법 : 워크플로우 모니터링 - 현재 워크플로우에 나타나는 비용, 시간, 인원, 사용 수를 면밀히 분석해 효율성을 찾음. 아이디어 검증 : 고객 간 업무 특수성 차이가 커 큰 의미가 없음. 해당 분야 업무 ..
[Book]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PM의 역할 PM의 정의 PM 역할이 아닌 것 보고 라인에 있는 팀 상사 : PM은 사람을 관리하지 않는다. 아무도 보고하지 않으며 그 누구의 상사도 아니다. 양보나 타협이 아닌 '왜'에 대한 비전을 명확하게 이해시켜 엔지니어 및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이끌어내야한다. 마케터 : PM은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마케터와 세일즈 담당자가 제품의 강점을 잘 인지한 상태에서 고객의 문제에 집중하여 홍보와 판매를 하고 있는지 면밀히 모니터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분석가나 사용자 리서처 : 린 스타트업 관점에서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목표는 '최종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지 않는 활동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때 데이터 수집은 사용자조사 팀이나 데이터 분석 팀에 의뢰하면 된다. 애자일 전문가 : 애자일 전문가처럼 애자일 방법론에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