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Book]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OKR과 KPI

hongivory 2024. 2. 16. 22:57

 

OKR  :  목표 및 핵심 결과

  • 목표 달성을 트래킹하고자 특정 지표를 사용하는 매우 단순한 흑백 접근 방법. 일반적으로 기업 조직은 3~5개의 상위 목표와 목표당 3~5개의 핵심 결과를 갖는다.
    1. 항상 수량화/정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2. 0 또는 1의 바이너리 상태(성공/실패, 달성/미달성, 활성/비활성)나 0~10, 0~100의 척도를 갖고 점수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3. 명확한 타임라인과 매우 공격적인 달성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OKR은 성장에 초점을 맞춘 조직에 적합하다.
빠르고 공격적인 성장을 위한 연속적인 반복의 과정이다.

 

기존 프로덕트의 버전 업이나 유지 보수를 하는 이미 성숙된 구조를 가진 팀 보다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모바일, 메타버스 같은 빠른 혁신을 요하는 그룹에 적합하다.


KPI  :  핵심 성과 지표

  • 기업 및 개인, 프로그램, 프로젝트, 특정 작업 등 추적하고자 하는 대상을 일정 단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과를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사용
    1. 목표치와 비교해 반드시 측정 가능해야 한다.
    2. 동원할 수 있는 자원(비용, 인력, 시간)을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가 명확해야 한다.
    3. 기업 전체나 조직의 큰 전략 목표에 상하위 연결성을 가져야 한다.
측정할 수 없다면 관리될 수 없다.
KPI 목적은 측정 가능해야 한다는 것으로, 절대 모호한 값을 설정해서는 안된다.

 

[부서별/업종별 KPI 분류 예시]

  • IT부서 : 매월 평균 매출, 고객 유지 또는 이탈, 티켓 해결 시간, MAU, DAU
  • 리테일 : 평방 미터당 매출, 매장별 매출, 직원별 매출
  • HR : 채용률, 이직률, 직원 실적, 평균 근무 기간, 성별 진급률
  • 세일즈 부서 : 고객 가치, 매출, 분기별 파이프라인

 

  OKR KPI
전략 개인, 팀 및 모든 조직과 자유롭게 연결된 전략 개인, 팀 간 상하위로 일치된 전략
접근 방법 회사 목표를 달성하는 데 무엇이 중요한지 모두에게 알림 전체 전략을 통해 각 부서의 운영 활동 및 접근 방법을 모색
중점 나타난 결과치보다 결과의 이유에 집중 나타난 결과치에 더욱 집중
목표 설정 공격적인 목표치를 설정 달성 가능한 목표치를 설정
프레임워크 역할에 맞게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음 조직 성과와 연계됨
방식 상향식 및 하향식 방식 리더십 주도(하향식)
성격 성장 지향 성과 관리를 중점으로 한다.

 

 

 

(내용 출처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김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