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PM

[Book]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B2B와 B2C

hongivory 2024. 2. 8. 17:43

 

B2B와 B2C

 
 
 1) B2B PM

  • 기업용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프로덕트를 관리한다. (대표적으로 오라클, 세일즈포스, MS 등)
  • 쉽게 말해, 다른 회사의 비즈니스를 돕고 해결하도록 설계되는 프로덕트를 담당한다.
  • 고객의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능력과 산업 및 고객별 비즈니스 흐름을 표준화하는 기술 능력이 필요하다.
  • 제품화 과정 : 고객의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기존 프로세스 내에서 어떤 시장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고민하며, 고객과 '협업'하는 개념으로 제품화 과정을 발전 시킴
  • PMF 방법 : 워크플로우 모니터링 - 현재 워크플로우에 나타나는 비용, 시간, 인원, 사용 수를 면밀히 분석해 효율성을 찾음.
  • 아이디어 검증 : 고객 간 업무 특수성 차이가 커 큰 의미가 없음. 해당 분야 업무 지식을 깊게 갖추는 것이 더 도움됨.
  • 배포 : 많은 변화가 필요한 발전은 고객 저항이 크다. 고객인 기업에 장기 로드맵을 설명하고 로드맵에 계획된 릴리즈를 철저히 따름.

 

2) B2C PM

  • 비교적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프로덕트를 관리한다. (대표적으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 카카오톡 등)
  • 기업이 아닌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종류가 많고, 접근이 쉽다.
  • 비전과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창의성을 갖춰야하며, 광범위하고 급변하는 기술을 빠르게 프로덕트에 적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 제품화 과정 : '먼저 시도하고 배우기'로 고객에 접근한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므로 최적점을 찾고자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배우고 실험하며 제품 시장 적합성(PMF)을 찾아간다.
  • PMF 방법 : A/B테스트 - 서로 다른 두 개의 프로토타입을 동시에 실험하고 전개하는 것.
  • 아이디어 검증 : 사용자 조사나 인터뷰같은 정량적이면서, 정성적인 방법을 활용. 최대한 많은 사용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중점 패턴을찾아낸 후 인터뷰를 통해 프로덕트 강점을 찾음.
  • 배포 : 클라우드나 모바일 환경에서 CI/CD를 통해 소프트웨어 딜리버리 사이클을 매우 짧게 가져감.

 

B2B 프로덕트 매니저는 비즈니스 워크플로우를 구축하고,
B2C 프로덕트 매니저는 사용자 행동을 구축한다.

 

 

차이 B2B PM B2C PM
아이디어 검증 비즈니스 고객에게 시장 이점을 주기 위한 지점 발견 시도하고 배우기 접근법과 시장 적합성을 찾기 위한 지속적 실험
검증 방법 사전 동의를 얻은 라이브 실험과 사용자의 피드백 (도메인 지식 반드시 필요) A/B테스트, 다중변수 테스트, URL 분기 테스트, 사용자 조사, 인터뷰
목적 고객과의 신뢰 구축을 통한 프로세스 향상 사용자의 행동 주시 및 분석
릴리즈 계획에 따른 릴리즈 빠르고 잦은 릴리즈
사용자 구분 사용 결정권자와 실제 사용자(운영자)가 다름 사용 결정권자와 사용자가 대체로 동일

 

 

(내용 출처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김영욱)